반응형 독서27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 : 나는 왜 나에게만 엄격할까?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1cm 다이빙》, 《홈 in 홈》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에세이스트 태수가 2년 만의 신작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로 돌아왔다. 이번 신작에서 저자 태수는 그동안 선보였던 이야기보다 한층 성숙하고 현명하게 삶의 행복에 가까워지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새로운 것, 짜릿한 것, 남들보다 높은 곳에서 행복하고 싶어 발버둥치는 사람들에게 행복은 꼭 그런 데에만 있는 게 아니라 불행해지지 않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고 조용히 알려준다.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는 요란한 세상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내 삶을 살아가는 튼튼하고 단단한 태도에 대해 말한다. 시끌벅적 기쁜 일을 찾아다니기보다도, 울 일이 없고 별다른 나쁜 일이 없는 하루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랬을 때에야 진정한 행복이 우.. 2025. 4. 4.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 다정함도 체력이 있어야 가능한 일 “다정함은 체력에서 나온다.달달한 사랑이나 찐한 우정도 결국 다 건강해야만 가능했다.당장이라도 쓰러질 것 같은 사람에겐 부모도 부부도, 결국은 남이다.”– 『어른의 행복은 조용하다』1. 체력이 좋아지니까 마음이 여유로워졌다이 문장을 읽고 고개가 절로 끄덕여졌다. 솔직히 예전에는 ‘다정함’이나 ‘여유’ 같은 게그냥 성격이나 마음가짐에서 나오는 거라고만 생각했었다. 근데 요즘 꾸준히 운동하면서 진짜 체력이 좋아지고 나니까,이런 게 단순한 멘탈의 문제가 아니라는 걸 느꼈다. 피곤하면 짜증도 잘 나고, 작은 일에도 욱하게 되고...그런데 체력이 붙으니까 별일 아니면 그냥 웃고 넘어가게 되더라. 몸이 괜찮으니까 마음도 덜 예민해지고,내가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않으니누군가를 도와줄 여유도 생기는 느낌. 내가 나를 잘.. 2025. 4. 3. <내 삶을 바꾼 인생역전 독서법>: 쉽게 이해하는 것이 진짜 배움이다 “무엇이든 쉽게 설명할 수 없다면 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자존심을 내려놓으면 지혜의 문이 열린다는 말은 사실이었습니다.어려운 책을 읽고자 할 때 너무 힘들다면, 그 주제에 대한 더 쉬운 책을 먼저 읽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쉽고 간결하게 쓰여진 책들이, 결국에는 더 깊은 이해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1. 쉽게 설명하려면 본질을 알아야 한다이 문장을 읽고 가장 먼저 공감한 건 “쉽게 설명할 수 있어야 진짜 이해한 것”이라는 말이었다.내가 가르치는 입장에서 누군가에게 설명할 때,무조건 쉽게, 간단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한다.그 과정을 통해 오히려 나 스스로가 그 개념의 본질에 더 가까이 다가가는 경험을 자주 한다.왜냐하면 쉽게 설명하려면 내가 그 내용을 완전히 이해.. 2025. 4. 2. <내 삶을 바꾼 인생역전 독서법> : 진짜 나를 만나기 위한 방법 “나는 정말 음악을 하고 싶었던 걸까? 아니면 그때 내 눈에 보이는 것이 음악밖에 없던 걸까?”우리는 생각보다 더 깊은 세상을 향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세상에 대해 궁금해하는 우리의 본성을 독서가 도와줄 수 있습니다.알지 못했던 세상을 만나는 것, 더 나은 인생을 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1. 내가 정말 원하는 일은 무엇일까?이 문장을 읽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고민이었다.나는 오랫동안 한 가지 분야에서 일해왔다.그게 익숙했고, 다른 선택지는 생각해보지 못한 채 자연스럽게 그 길을 따라왔다. 하지만 문득,“내가 정말 원해서 이 일을 선택한 걸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세상에는 2만 가지가 넘는 직업이 있다.그중 하나만 경험해보고 ‘이게 나의 전.. 2025. 3. 31.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국가의 개입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국가의 개입은 자본과 자원이 가장 필요한 곳에 투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결과를 낳는다.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자유시장에 간섭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1. 국가 개입은 국민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구조다 이 문장을 읽으며 처음 든 생각은,국가는 과연 어떤 방식으로 돈을 만들고 쓰는가에 대한 질문이었다.답은 명확하다. 국민에게서 걷은 세금이거나, 화폐 발행을 통해 공급된 돈이다.겉으로는 ‘국민을 돕기 위한 정책’처럼 보이지만,결과적으로는 국민의 세금, 물가 부담, 빚으로 되돌아오는 구조다. 정책에 실패해도 책임지는 사람은 없다.결국 모든 후폭풍은 국민이 감당한다.정부의 잘못된 개입으로 물가가 오르거나 시장이 왜곡돼도,그 부담은 가장 약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먼저 전가된다.. 2025. 3. 30.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여성은 왜 생계를 책임지는가? “오늘날 수많은 결혼한 여성들은 원해서 일하러 가는 것일까,아니면 가족의 생계를 꾸려나갈 돈이 부족해서 그러는 것일까?”현실의 구조이 문장을 읽고 꽤 오래 머물렀다.지금 이 시대에 여성들이 일을 하는 이유,그 근본적인 동기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많은 여성들이 '자기계발'이나 '커리어'보다는현실적인 이유, 생계를 위한 노동으로 사회에 나간다. 그 이면에는 늘 가족을 위한 희생이 전제되어 있다.맞벌이 부부를 떠올려보면,남성의 수입만으로는 생활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구조 속에서여성은 ‘도와야 하니까’ 일터에 나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여성이 경제활동을 하더라도가사와 육아는 대부분 여전히 여성의 몫이다.일은 두 배가 되었지만, 책임은 나누어지지 않은 현실. 질문과 시선그런데 문득 궁금해졌다.왜.. 2025. 3. 29.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